부동산 전세사기 피하는 방법
2022. 8. 8. 23:04ㆍ부동산정보
반응형
부동산 전세사기 피하는 방법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조사에 따르면 전세사기는 2017년도 74억원에서 2021년도에는 5,790억원으로 4년 동안 78배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전세사기의 대표적인 매물은 실거래가 보다 높은 전세가, 깡통 전세, 보증금을 돌려막는 등 입니다. 부동산 전세사기 피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①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전세사기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전문가들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을 추천합니다. 해당 상품은 집주인이 보증금을 반환해주지 않으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반환해주고, 공사에서 집주인에 구상권을 행사하는 상품입니다.
보증(험) 상품이다보니, 가입시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지원사업도 많으니, 지원 대상이 되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② 등기부 등본 확인
우선 등기부등본을 여러번 확인합니다. 해당 매물의 시세는 얼마인지, 저당은 얼마나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는 전세 계약시, 잔금 납입 전, 잔금 납입 후 여러 차례 확인하여야 합니다.
③ 국세, 지방세 완납증명서 요구
임대인에게 국세, 지방세 완납증명서를 요구하여 근저당 외에 국세, 지방세 등 체납된 내역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체납으로 인해 해당 건물이 경매로 넘어간다면,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남의 이야기인 줄 알았던 전세사기의 피해자가 "내"가 될 수 있습니다. 내용 참고해주시기 바라며,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당권과 근저당권의 차이 (0) | 2022.08.09 |
---|---|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어떤 것이 유리할까? (0) | 2022.08.08 |
부동산, 아파트 취득세 (0) | 2022.08.03 |
아파트 이름 짓기, 작명법 (0) | 2022.08.03 |
실평수 쉽게 계산하는 방법 (1초 계산) (0) | 2022.08.03 |